(플러스인뉴스) 과천시는 23일 시청 상황실에서 ‘민간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사업’ 중간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향후 실무부서의 의견을 반영해 정책 및 예산 수립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지난 3월부터 진행된 이번 사업은 △지역 상권 실태 및 축제 특성 △버스 이용 현황 △건물 에너지 특성 등 총 3개 과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민간 데이터를 포함한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수집한 빅데이터를 다양한 기법으로 분석해 결과를 도출했다.
‘지역 상권 실태 및 축제 특성 분석’은 통신사 기반 이동 인구, 카드사 소비 특성 등을 활용하여 2023년∼2025년 3년간의 행정동 단위 상권 실태와 주요 축제 유형별 방문객 특성을 분석했다. 이는 지역 상권 활성화 방안과 축제 기획 수립 등에 활용될 계획이다.
‘버스 이용 현황 분석’은 교통카드와 생활 이동 인구 데이터 등을 활용해 이용객 특성에 따른 정류장별 승하차 인원 및 특성, 노선별 배차간격, 3개 권역(원도심·지식정보타운 등)의 혼잡도를 분석했다. 노선 중복도, 평균 이용객 수, 수요가 많은 시간대의 배차간격을 고려하여 버스 노선 체계를 재설계하는 등 대중교통 정책에 응용 예정이다.
‘건물 에너지 특성 분석’은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한 에너지원별 사용 데이터와 유동 인구 등 민간 데이터를 통해 업종별·용도별 건물 에너지 다소비 현황을 파악했다. 이 결과는 ‘찾아가는 온실가스 컨설팅’ 등 탄소중립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신계용 과천시장은 “앞으로 데이터 활용이 신뢰성 높은 행정서비스 제공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사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실무부서와 소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분석 결과를 도출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 과천시]